경로당 식사제공 주5일로 확대…7~8월 냉방비 별도 지원한다

‘여름철 민생·생활안전 대책’ 추진…위기가구 2만명 집중 발굴
입수 위기정보 46종으로…무더위쉼터 18시→21시까지로 연장

 

 

(뉴미디어뉴스) 정부가 어르신에게 식사를 제공 중인 5만 8000개 경로당의 식사 제공 일수를 주 3.4일에서 주 5일로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에 양곡비 38억 원과 부식비 253억 원(지방비), 노인일자리를 활용한 급식 지원인력도 2만 6000명 추가 지원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30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여름철 민생 및 생활안전 대책'에 따라 여름철 취약계층 보호 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에 따라 혹서기 복지 위기가구를 집중 발굴,지원하고, 노인,노숙인,쪽방주민 등 대상별 맞춤지원도 강화할 방침이다.  

 

먼저 혹서기 위기가구 발굴과 지원을 적극 추진한다.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으로 입수된 위기징후 빅데이터 45종을 활용해 여름철에 폭염과 집중호우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주거취약가구, 체납,단전 등 혹서기 복지위기 가구 약 2만 명을 7월부터 9월까지 집중 발굴한다. 

 

또한 입수 위기정보를 단전, 단수 등 기존 45종에 집합건물(오피스텔) 관리비 체납 정보를 추가해 46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취약계층 대상 찾아가는 복지 상담을 실시하고, 지역 기반의 복지자원 연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오는 6월 말에 본격 운영하는 복지위기 알림 앱을 통해 본인과 이웃의 복지 위기 상황을 쉽게 알릴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 현장 중심의 위기가구 발굴을 강화한다. 

 

취약계층 대상별 맞춤지원 대책에 따라 폭염 대비 독거노인과 조손가구 등 어르신의 건강과 안전을 상시 보호한다. 

 

이와 관련해 폭염특보(주의보,경보) 발령 때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55만 명을 대상으로 일일 안전 확인(유선,방문)을 실시한다. 

 

응급안전안심서비스(27만 가구)를 통해 집에 설치된 정보통신기술(ICT) 기기를 활용해 응급상황을 감지하여 신속한 대처를 지원한다. 

 

어르신들이 시원한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무더위쉼터로 지정된 경로당 4만 6000개의 운영시간을 기존 오후 6시에서 밤 9시까지 연장하고 비회원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자체에 권고할 계획이다. 

 

한편 결식 우려가 있는 아동에게 여름방학 중에도 차질 없이 급식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별 여건과 아동의 상황을 고려해 단체급식,일반음식점,도시락배달,급식카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한다.  

 

노숙인,쪽방주민 보호를 위해 중앙,지자체,관계기관 간 공동대응반을 운영해 신속한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무더위쉼터,응급잠자리,냉방용품을 지원하며 주,야간 순찰을 확대해 현장 대응도 강화한다. 

 

한편 냉방비 별도 지원과 안전관리를 실시하는데 폭염기간(7~8월) 동안 전국 경로당과 미등록 경로당에 월 17만 5000원, 사회복지시설에는 규모별로 월 10만~50만 원의 냉방비를 지원한다. 

 

이밖에도 여름철 자연재해 대비 사회복지시설 2만여 곳과 전국 병원급 790여 곳을 대상으로 시설안전과 재난대비 상황을 집중 점검할 방침이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폭염에 대비해 취약계층에 대한 촘촘한 보호 대책을 시행하고, 풍수해,태풍 등 여름철 재난에 대비해 빈틈없는 시설 안전 점검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처=보건복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