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년까지 광역철도망 3배 확대…대도시권 30분대 생활권

2차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 확정…향후 20년 청사진 제시
수소·전기버스로 100% 전환…GTX 중심 환승센터 2040년까지 30곳 구축

 

(뉴미디어뉴스) 오는 2040년까지 대도시권 내 광역철도 연장이 3배 이상으로 확대돼 30분대 생활권이 갖춰진다.

또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수소,전기 광역버스로의 100% 전환 등을 함께 추진한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지난 27일 향후 20년간 광역교통의 목표와 추진전략을 제시하는 '제2차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2021~2040)을 마련해 국가교통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제2차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은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수립하는 20년 단위 법정계획으로, 전문기관(교통연구원) 연구용역 및 공청회 등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마련됐다.

제2차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은 '여유로운 일상과 권역의 상생발전을 이끄는 광역교통'을 위해 향후 교통수요에 대한 전망과 미래 메가트렌드를 고려한 4가지 추진전략 및 과제를 제시했다.

◆광역통행 기본권 확보를 위한 인프라 확충

먼저, 선진국 수준의 대도시권 광역철도망을 구축하고 도로의 간선기능을 회복해 대도시권 내 30분대 생활권을 실현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망 및 비수도권 내 거점 간 광역철도 등 광역철도망을 2040년까지 3배 이상 확충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수혜인구 비중을 2040년 80%까지 확대하고, 비수도권 내 거점 간 광역철도를 적극 확충해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한다.

아울러 순환도로망 확대, 지하도로 등을 통해 대도시권 내 도로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광역교통축의 혼잡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한다.

또한, 저비용 고효율 교통수단과 환승센터를 확충해 편리한 대중교통 이용환경을 조성한다.

이를 위해 BRT(간선급행버스)망을 대폭 확대하고 지하철 수준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S-BRT(Super-BRT)와 GTX 거점역 등과의 연계 교통수단 등으로 활용하는 트램을 도입,확산한다.

더불어, GTX 중심의 환승센터를 2040년까지 30곳 구축해 환승시간은 3분 미만, 환승거리는 1/2로 단축하고, 자율차,UAM 등 새로운 교통수단을 지원하는 미래형 환승시설을 도입한다.

◆이용자 중심의 광역교통 운영체계 개선

광역버스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서비스 수준을 향상해 이용자의 편의를 높인다.

이를 위해 공공성과 효율성을 조화한 노선 입찰제 방식의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지난해 3개 노선에서 2030년 수도권 전체 노선으로 확산해 광역버스의 안정적인 운영기반을 강화한다.

이어 광역교통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광역버스 노선 확대 및 증차운행 지원, 프리미엄 광역버스 도입 등 광역버스 서비스를 다양화해 출퇴근 혼잡을 해소하고, 이용자 중심의 광역버스 서비스 기준을 마련해 전체 광역버스 노선의 서비스 품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다양하고 합리적인 광역교통 요금체계를 구축하고 이용자 중심의 광역교통 서비스 평가를 도입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과 지방대도시권 일부에서 운영 중인 통합환승할인제를 2030년 전국으로 확대하고 탄소중립을 위한 대중교통 중심 교통문화 정착에 기여하는 알뜰교통카드 확대 및 이를 기반으로 지역별 대중교통시책을 연계한 '지역 맞춤형 알뜰교통카드'를 도입한다.

이용시간대,좌석등급별 교통요금의 다양화 및 이용패턴에 맞는 다양한 정기권 상품 출시 등을 통해 이용자 선택권을 확대한다.

아울러, 이동성,편의성,안전성 등을 기반으로 대도시권 광역교통 서비스 평가 지표를 개발하고 정기적으로 조사,평가를 시행해 정책수립을 지원하는 등 지역별 특성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친환경,스마트 교통시스템 구축

탄소 중립을 선도하는 친환경 교통시스템을 구축한다.

올해부터 운행을 시작한 2층 광역전기버스 운행대수를 2040년까지 600대로 확대하는 등 2040년까지 광역버스를 수소,전기 등 친환경 연료 차량으로 100% 전환하고, 환승거점 내 친환경 충전시설 및 범부처 R&D를 통한 수소트램 등 친환경 교통수단을 도입한다.

또한, 기술혁신 기반 스마트 교통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술 발전 수준에 따라 자율주행 실증 서비스를 거쳐 2025년부터 자율주행 BRT 및 광역버스를 단계적으로 상용화하고 철도,광역버스까지의 접근성 제고를 위한 자율주행 셔틀을 2026년 도입하는 등 새로운 광역교통 기술을 도입한다.

2030년에 모바일로 모든 교통수단을 연결해 통합예약,결제가 가능한 광역권 통합교통 서비스(M-MaaS) 시범사업과 IoT 기반 통합요금 자동결제 시스템 상용화를 추진하고,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 등 플랫폼 기반 광역교통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한다.

◆광역교통체계의 지속가능성 확보

선제적 광역교통대책 등으로 교통 불편을 최소화하고 빅데이터 및 광역교통 거버넌스를 활용해 정책의 신뢰도를 높인다.

이를 위해 대규모 개발,건축사업 등 국토공간의 이용과 광역교통 개선대책을 적기에 연계하고 대중교통 중심의 저비용,고효율 광역교통에 대한 투자를 강화한다.

또, 광역교통 빅데이터를 활용,분석해 실효성 있는 대도시권 광역교통 정책 수립을 지원하며, 시민 참여,소통 채널을 확대하고 관련 지자체 등과 함께 사안별 협의체를 구성,운영하는 등 상생발전을 위한 광역교통 거버넌스를 구축한다.

이번 제2차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에서 제시된 목표와 추진전략은 5년 마다 수립되는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과 부문별 계획(BRT, 환승센터 등)을 통해 구체화한다.

또한 국토공간계획과 광역교통계획간 유기적인 결합을 촉진하고, 초광역 경제,생활권 조성을 위한 광역교통망 조성 및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교통체계 구축 등 지역 주도의 '초광역 협력'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규현 대도시권광역교통본부장은 '제2차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은 대도시권 내 광역교통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초석으로서, 국민들이 불편함이 없이 보다 빠르고 편안하게 주요 거점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풍요로운 삶의 질을 누리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이번에 제시한 비전과 중장기 추진전략을 기반으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대도시권 광역교통 정책을 일관성 있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제공 : 정책브리핑